본문 바로가기
학습정보

지구의 구조 한눈에 보기 – 내 아이를 위한 쉽고 재밌는 과학 이야기

by 인사이트 노트 2025. 8. 10.

지구의 구조 한눈에 보기 – 내 아이를 위한 쉽고 재밌는 과학 이야기

지구의 구조 한눈에 보기 – 내 아이를 위한 쉽고 재밌는 과학 이야기

“엄마, 지구 안에는 뭐가 있어?”
저희 둘째가 과학 시간에 지구 단면도를 보고 나서 집에 와서 물었던 질문이에요.
그날 아이와 같이 이야기를 나누면서 느낀 건, 지구의 구조가 사실 조금만 비유를 섞어서 설명하면 정말 재미있는 주제라는 거였어요.
오늘은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구의 구조를, 엄마가 들려주는 이야기처럼 풀어볼게요.


1. 지구는 ‘양파’ 또는 ‘계란’처럼 층층이

지구를 옆에서 단면으로 잘라 보면 껍질과 속이 여러 겹으로 되어 있어요.
크게 보면 지각 → 맨틀 → 핵(외핵·내핵) 세 덩어리,
세부적으로는 네 층으로 구분할 수 있죠.

이 모습이 마치 양파를 반으로 잘랐을 때 겹겹이 나오는 껍질 같기도 하고,
삶은 달걀을 반으로 잘랐을 때 나오는 껍질·흰자·노른자와도 비슷해요.


2. 가장 바깥 – ‘지각’ 

지각은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땅과 바다, 산과 평야, 도시와 숲까지 모두 포함돼요.
이 두께는 평균 35km 정도밖에 되지 않아요.
지구 전체 크기를 생각하면 ‘종이 한 장’에 불과할 정도로 얇은 층이에요.

지각은 두 종류로 나뉩니다.

  • 대륙지각: 대륙을 이루는 두껍고 가벼운 지각 (약 35~70km)
  • 해양지각: 바닷속 바닥을 이루는 얇고 무거운 지각 (약 5~10km)

💡 비유: 지각은 ‘계란 껍질’과 같아요. 겉에서 우리를 보호하지만 얇아서 금방 깨질 수도 있어요.


3. 지각 밑 – ‘맨틀’ 

지각 아래에는 맨틀이라는 두꺼운 층이 있어요.
두께가 약 2,900km나 되어서, 지구 부피의 80% 이상을 차지해요.
맨틀은 단단한 바위로 되어 있지만,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움직입니다.

이 맨틀의 움직임 때문에 대륙이 조금씩 이동하는데,
이 현상을 판 구조론이나 대륙 이동설에서 배워요.
지진과 화산 활동도 사실은 맨틀 속 움직임과 연결돼 있답니다.

💡 비유: 맨틀은 ‘뜨겁고 꾸덕한 캐러멜’ 같아요. 겉으로는 딱딱해 보여도 안에서는 천천히 흘러요.


4. 지구의 심장 – ‘핵’ 

핵은 지구 중심에 있는 부분으로, 두 층으로 나뉩니다.

  1. 외핵
    • 두께 약 2,200km
    • 철과 니켈로 이루어진 액체 상태
    • 이 액체 금속이 움직이면서 ‘지구 자기장’을 만듭니다.
      자기장은 태양에서 오는 해로운 방사선(태양풍)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줘요.
  2. 내핵
    • 반지름 약 1,220km
    • 엄청난 압력 때문에 단단한 고체 상태
    • 온도는 약 5,000°C로, 태양 표면과 비슷하게 뜨거워요.

💡 비유: 핵은 ‘복숭아씨’처럼 단단하고, 지구 한가운데 중심을 잡고 있어요.


5. 지구 구조 외우기 – 노래처럼

아이들에게는 반복과 리듬이 최고예요.
저희 집은 이렇게 외워요.

“지각 – 맨틀 – 외핵 – 내핵!”
혹은 줄여서 ‘지맨외내’라고 하고 손가락 네 번을 톡톡 두드려요.
이렇게 하면 시험 때도 바로 생각납니다.


6. 집에서 해보는 지구 구조 실험

지구 구조를 머리로만 배우면 금방 잊어요.
그래서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실험을 추천해요.

재료

  • 삶은 달걀 1개
  • 칼 (엄마가 사용)

방법

  1. 삶은 달걀을 반으로 자릅니다.
  2. 껍질 = 지각, 흰자 = 맨틀, 노른자 = 핵이라고 설명해 주세요.
  3. 껍질이 얇은 이유, 노른자가 뜨거운 이유를 이야기해 주세요.

💡 달걀 실험을 하면 아이가 “아~ 그래서 지진이 생기는구나!” 하고 바로 연결합니다.


7. 생활 속 과학 연결

지구의 구조를 알면 일상에서 보는 현상들이 과학적으로 이해돼요.

  • 지진: 맨틀 속 판이 움직여 지각이 흔들림
  • 화산: 맨틀 속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분출
  • 자기장: 외핵이 만들어 전자기기와 인류를 보호

이렇게 연결해서 이야기하면, 과학이 ‘시험 과목’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눈’이 됩니다.


8. 엄마표 확장 활동 아이디어

  • 지구 단면 모형 만들기: 스티로폼 공에 색칠해 지각·맨틀·외핵·내핵 표시
  • 지구 구조 색칠 공부: 색연필로 층마다 다른 색을 칠하며 이름 적기
  • 퀴즈 게임: “지각은 두껍다? 얇다?” “자기장은 누가 만들까?”

지구의 구조 한눈에 보기 – 내 아이를 위한 쉽고 재밌는 과학 이야기

지구를 더 사랑하게 되는 공부

지구의 구조를 배우면 단순히 과학 점수를 올리는 게 아니라, 우리가 사는 행성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돼요.
외핵이 자기장을 만들지 않았다면, 우리는 태양에서 오는 방사선 때문에 살 수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방학 동안 아이와 함께 지구 모형을 만들거나, 박물관에 가서 실제 지질 전시를 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이런 경험은 교과서 공부보다 오래 기억되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길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