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정보

초등생 글쓰기 잘하는 방법 | 엄마표 글쓰기 지도 5단계 전략

by 인사이트 노트 2025. 8. 21.

초등생 글쓰기 잘하는 방법 | 엄마표 글쓰기 지도 5단계 전략

초등생 글쓰기 잘하는 방법 ❘ 엄마표 글쓰기 지도 5단계 전략

 

초등학교 시기는 아이들이 본격적으로 읽고 쓰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그런데 막상 글쓰기를 시작하면 “뭘 써야 할지 모르겠어”라며 머뭇거리거나, 두세 줄만 적고 끝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답답하기도 하고, 아이가 글쓰기 자체를 싫어하게 될까 걱정되기도 하지요.

 

사실 글쓰기는 단순히 국어 성적을 올리기 위한 기술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하는 힘을 길러주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글쓰기를 잘하게 된 아이는 모든 과목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어요. 문제 해결력, 발표력, 창의력까지 글쓰기에서 파생되기 때문에 초등 시기의 글쓰기 훈련은 그만큼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초등생이 글쓰기를 즐겁게 시작하고, 점점 실력을 키워갈 수 있을까요?  저도 이번 여름방학 숙제 주제글쓰기를 아이와 같이 하면서  엄마표로 도와줄 수 있는 초등생 글쓰기 잘하는 방법을 5단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는 첫쨰아이 주제글쓰기 방학 숙제 내용이에요~]

초등생 글쓰기 잘하는 방법 ❘ 엄마표 글쓰기 지도 5단계 전략


1. 글쓰기의 바탕은 ‘읽기 습관’

글은 결국 언

어의 표현입니다. 아이가 풍부한 문장과 단어를 접하지 못한다면 글쓰기가 막힐 수밖에 없어요. 따라서 글쓰기 실력의 80%는 읽기 습관에서 시작됩니다.

  • 하루 10분이라도 꾸준히 책을 읽는 시간을 만들어 주세요.
  • 동화책, 동시집, 학습만화, 짧은 기사 등 다양한 형태의 글을 접하게 하면 어휘력이 넓어집니다.
  • 책을 읽은 후에는 간단히 대화를 나눠 보세요.
    • “이 책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장면은 뭐야?”
    • “주인공이 왜 그렇게 했을까?”

이런 대화를 통해 아이는 책 내용을 단순히 읽는 데서 그치지 않고, 생각을 말로 정리하는 훈련을 하게 됩니다. 말로 정리하는 습관은 곧 글로 옮길 때 큰 도움이 됩니다.


2. 생활 속 경험을 주제로 글쓰기

아이들이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는 주제가 너무 추상적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나의 꿈” 같은 주제는 초등생에게 막연하지만, “오늘 아침 내가 제일 맛있게 먹은 반찬”이나 “우리 집 반려동물의 하루” 같은 주제는 훨씬 쓰기 쉽습니다.

  • 가까운 경험일수록 아이가 쉽게 떠올릴 수 있고, 글에 생동감이 살아납니다.
  • 아이 스스로 겪은 일은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어 자연스러운 문장이 나옵니다.

👉 팁: 하루 일과에서 한 가지 장면을 골라 짧게 글로 남기는 **‘하루 한 줄 일기’**를 습관화해 보세요. 매일 쓴 글이 쌓이면 아이도 뿌듯해하고, 글쓰기 부담이 줄어듭니다.


3. 글쓰기 과정은 ‘단계별’로

많은 아이들이 글을 쓸 때 처음부터 완성도 있는 문장을 만들려다 지칩니다. 하지만 글은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과정을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준비하기
    • 주제를 정하고, 떠오르는 단어·문장을 메모하기
    • 간단히 생각 정리하기
  2. 쓰기
    • 일단 문장을 이어서 써보기 (맞춤법은 신경 쓰지 않아도 됨)
    • 양이 많지 않아도 괜찮으니 생각을 끝까지 적어보는 것이 핵심
  3. 다듬기
    • 필요 없는 말 빼기, 문장 연결하기, 맞춤법 확인하기
    • 한두 문장만 수정해도 아이는 글이 좋아지는 경험을 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아이는 “글은 쓰고 고치는 과정에서 완성된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4. 칭찬은 구체적으로, 교정은 최소한으로

아이 글을 읽고 부모가 가장 먼저 하는 말은 대개 “맞춤법 틀렸네”, “문장이 이상하네”입니다. 하지만 이런 지적은 아이의 자신감을 꺾어 버립니다.

  • 잘 쓴 부분을 먼저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세요.
    • “이 부분에 네 기분이 잘 드러나서 읽는 내가 재미있었어.”
  • 고쳐줄 때는 한 번에 하나만, 구체적으로 제시하세요.
    • “여기서 ‘좋았다’ 대신 네가 느낀 걸 조금 더 자세히 써볼래?”

한 번에 여러 가지를 지적하기보다, 작은 개선을 반복하는 것이 아이의 글을 훨씬 빠르게 성장시킵니다. 고학년이 되면 맞춤법도 알아서 교정이 되니 맞춤법이 틀려도 잘했다고 칭찬해주세요.


5. 글쓰기를 ‘재미있는 경험’으로 만들기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아이가 글쓰기를 ‘공부’가 아니라 재미있는 활동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아이가 쓴 글을 가족 단톡방에 올려 칭찬받게 해 주세요.
  • 예쁜 노트에 옮겨 적어 작은 작품집을 만들면 성취감을 느낍니다.
  • 가끔은 부모와 함께 “공동 글쓰기”를 하며 글쓰기의 즐거움을 알려주세요.
  • 글을 잘 쓰면 작은 보상을 주는 것도 동기 부여가 됩니다.

아이에게는 글쓰기 자체보다 인정받는 경험이 훨씬 크게 남습니다.

저희 아이는 5학년이 넘으니 글 쓴걸 부끄럽다며 안 보여 주려고 하더라고요.. 좀 더 어릴 때 글쓰기를 즐겁게 해 보았으면 더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후회가 되더라고요..


초등생 글쓰기는 단순히 문장을 잘 쓰게 하는 훈련이 아닙니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하는 힘을 길러주는 과정입니다. 부모가 조금만 시선과 태도를 바꿔서 읽기 → 경험 주제 → 단계별 쓰기 → 구체적 칭찬 → 즐거움이라는 흐름을 만들어주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글쓰기를 좋아하게 됩니다.

 

아이의 글쓰기를 돕는 것은 결국 평생의 표현력과 사고력을 키워주는 가장 값진 선물입니다. 오늘부터 작은 습관 하나라도 시작해 보세요. 꾸준히 쌓이면 아이의 글쓰기가 달라지고, 생각하는 힘까지 깊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