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아이폰과 애플워치로 티머니 탑승해본 리얼 후기 + 충전 & 자동충전 꿀팁

by 인사이트 노트 2025. 7. 25.

출근길, 지갑을 두고 나왔던 날

얼마 전, 출근길에 서둘러 나오다가 지갑을 집에 두고 온 적이 있었어요. 버스를 타야 하는데 교통카드도 없고, 순간 진땀이 흐르더라고요. 그때 떠오른 소식이 바로 **“아이폰과 애플워치로 티머니가 된다”**는 소식이었어요. 2025년 7월부터 애플페이와 티머니가 본격적으로 연동되어, 이제 **아이폰(iOS 17.2 이상)**이나 **애플워치(Series 6 이상)**만 있으면 서울·경기·인천 지하철과 버스를 탈 수 있다는 거죠. 호기심 가득한 마음으로 바로 등록을 시도해봤습니다.


1. 티머니 등록 과정 – 생각보다 쉽다!

아이폰의 지갑(Apple Wallet) 앱을 열고, 상단의 ‘+’ 버튼을 누르니 ‘교통카드(Transit Card)’ 항목에 티머니가 보였습니다. 등록 과정은 정말 간단했어요.

  1. T-money 선택 후 카드 발급
  2. 현대카드로 선불 충전 (초기 1만 원 충전으로 시작)
  3. 인증만 하면 바로 사용 가능

 

 

 

 

가장 마음에 들었던 건 익스프레스 모드였습니다. 설정에서 익스프레스 모드를 켜두니, 화면 잠금을 풀지 않고도 개찰기에 대기만 하면 “띡” 하고 바로 통과할 수 있더라고요. 그 순간 “진짜 미래가 왔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2. 애플워치 연동 – 손목으로 찍는 편리함

저는 출근할 때 손에 휴대폰을 들지 않는 편이라 애플워치에도 등록을 해봤어요. 아이폰 지갑 앱에서 **‘카드를 워치로 이동’**하면 끝인데, 이동 시 아이폰에서는 해당 카드가 사라지니 주로 워치를 쓰는 분들에게 유용합니다. 손목을 톡 대기만 하면 버스 단말기가 바로 인식하니 손이 자유롭고 정말 편했어요.


3. 첫날 탑승기 – “띡!” 소리에 감탄

다음날 출근길에 일부러 지갑을 두고 아이폰만 들고 나갔습니다. 지하철 개찰구에 아이폰을 살짝 대니 바로 “띡!” 소리가 나면서 문이 열렸어요. 버스도 마찬가지로 한 번에 인식되었고, 환승할인도 동일하게 적용되더라고요. 기존 교통카드와 다를 게 없었습니다.

특히 신기했던 건 아이폰 전원이 꺼져도 최대 5시간까지 이용 가능하다는 점이었어요. 퇴근길 배터리가 없을 때도 걱정 없이 버스를 탈 수 있다는 사실이 마음을 놓이게 했습니다.


4. 충전 및 자동충전 꿀팁

(1) 충전 방법

  • 아이폰 지갑 앱에서 등록한 현대카드로 바로 충전 가능
  • 티머니 앱을 함께 사용하면 삼성페이나 네이버페이 등 다양한 결제수단으로도 충전 가능

(2) 자동충전 기능

  1. 지갑 앱 → 티머니 카드 선택
  2. ‘자동충전’ 설정에서 잔액 기준금액(예: 2,000원 이하) 지정
  3. 지정 금액(예: 10,000원)이 자동 충전

저는 잔액이 3천 원 밑으로 내려가면 자동으로 1만 원 충전되도록 설정했어요. 덕분에 매번 충전할 필요가 없고, 교통비를 깜빡할 걱정도 줄었습니다.

 

 

 


5. 사용해본 후 느낀 장단점

장점

  • 지갑 없이 아이폰·애플워치만 있으면 탑승 가능
  • 익스프레스 모드로 잠금 해제 없이 바로 인식
  • 배터리가 꺼져도 일정 시간 사용 가능

단점

  • 현대카드만 등록 가능 (타 카드 미지원)
  • 기후동행카드나 후불 티머니 미지원
  • 두꺼운 케이스나 금속 케이스는 인식이 잘 안 될 수 있음

한마디로 말해 “이거 한 번 쓰면 돌아갈 수 없다”입니다. 특히 손목에 찬 애플워치로 버스를 ‘띡’ 찍을 때의 쾌감은 정말 신세계였어요. 출퇴근 시 지갑을 챙길 필요가 없고, 간편함은 물론 스타일 면에서도 스마트해진 느낌이에요.


앞으로 티머니는 택시나 편의점 결제 등으로도 확장될 예정이라고 해요. 아이폰 유저라면 무조건 써볼 만한 혁신 기능입니다.